2021. 10. 9. 01:00ㆍ카테고리 없음
![](https://blog.kakaocdn.net/dn/cqGr8V/btrhfylOh4V/GDu7i3kfHcDQTfA5ytCrs0/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10월 9일 “한글날” 입니다.
한글날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한글날”
한글날의 정의
훈민정음(訓民正音)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세종어제(世宗御製) 서문(序文)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록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dKyjJV/btrhdePAPgZ/Uh7d0gurZXsklsQoeE0I5k/img.jpg)
“훈민정음”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다. 목판본으로 2권 2책이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에 소장되어 있다. 책으로서의 훈민정음에는 "나라말씀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으니…"라고 한 《훈민정음예의본》과, 글자를 지은 뜻과 사용법 등을 풀이한 《훈민정음해례본》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s4RX6/btrhdvXTClq/Hkd4y8Z1bv4VD3uGgiIsT1/img.jpg)
한국인들에게 과거 유산 가운데 가장 자랑스러운 것을 꼽으라면 열이면 열 모두 한글을 말합니다. 그 이유를 물으면대개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기 때문” 또는 “가장 과학적인 문자이므로”라고 말하며, 어떤 사람은 “배우기 가장 쉬운 문자라서”라고 답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대답들은 부분적으로만 사실일 뿐, 충분한 답변이 되지 못합니다.
우선 한글이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세계의 문자는 그 나라 말만 정확하게 적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글로는 영어의 ‘f'나 'th'를 적을 수 없지 않습니까? 그 다음으로 한글이 세계 언어학자들을 깜짝 놀라게 할 만큼 과학적인 원리로 만들어졌다는 것은 맞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6Kv8/btrhgkOnqRo/icbKQnH5yepskJ8nf74080/img.png)
올해는 세종대왕이 독창적인 우리의 말과 글인
‘훈민정음’을 세상에 반포한지 제575돌이 되는 해입니다. 백성들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기를 바라는 세종대왕의 어진 마음에서 탄생한 훈민정음은 창의적이면서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자로 세계에서 그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10월 9일 한글날은 이 같은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는 5대 국경일이기도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7gnl/btrhdV9RHxt/5pC3cVRUFdtMpdrMS3DNK1/img.jpg)
2021년인 올해부터는
한글날에도 대체공휴일이 적용·시행 됩니다.
다만 기재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고용노동부 등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대체공휴일이 크게 증가할 경우 경제 관련 부담이 늘어날 것을 고려해 1월 1일, 석가탄신일, 성탄절은 대체공휴일을 적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xPyXb/btrhgkgw4Q9/OyjBgDqawqbXAX0peKQ4a1/img.jpg)
끝으로
한글의 우수성은
국내 뿐 아니라 최근 전 세계로 뻗어 나가 사랑받는 글자가 되고 있습니다. 글자가 없는 민족에게 한글이 보급되고, 디자인적으로 활용하는 브랜드들도 늘어가고 있답니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은 10년 전 한글을 부족어 표기법으로 채택하였습니다.
언어는 있지만 표기할 글자가 따로 없었던 이들의 문제를 해결해 주었다고 합니다. 그 이후 한글을 넘어서 한국 문화에도 관심을 보여 한국 거리 등 다양하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한글의 우수성은 창의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언어라서 전 세계적으로도 인정하고, 사랑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가장 소중한 유산이자 보물인 것 같습니다.
한글날 만큼은 외래어 사용하지 말고
오로지 한글만 사용해 보는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