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0. 13:31ㆍ카테고리 없음
![](https://blog.kakaocdn.net/dn/k5mkR/btrkpOfuDnl/KV05C2sjiym9jDWY9xjVC1/img.jpg)
최근 요소수가 이슈가 되고 있죠.
요소수 대란으로 인해서 디젤을 사용하는 경유차 차주분들과 화물운송을 직업으로 하시는 분들이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래서 저도 요소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간단하게 알아보고 관련 기사내용도 살펴보죠.
요소수란?
요소수는 SCR의 핵심으로,
디젤 차량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을 정화시키기 위해 SCR에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물에 요소 성분을 혼합한 것으로, '우레아(Urea, 암모니아 수용액)'라고도 한다.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곳에 요소수를 분사하면 질소산화물이 물과 질소로 환원된다. 이에 SCR을 화학적 정화라고 하며, 특히 질소화합물만 환원시키기 때문에 ‘선택적 환원 촉매 방식’이라고 하는 것이다.
디젤 차량의 경우 요소수를 지속적으로 배출가스에 뿌려줘야 하므로, 디젤 차량에는 요소수 주입구가 설치돼 있다. 이는 보통 연료 주입구 옆에 위치해 있으나, 간혹 차량에 따라 트렁크 안쪽이나 엔진룸 안쪽 깊이 위치한 경우도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6OLb7/btrkomjHM2U/vnxK6WN4KcapjlJNRgSNFK/img.png)
한 때 '클린 디젤'이라며 높은 연비와 저렴한 기름값으로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경유차가 친환경 바람이 불며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다. 여기에 요소수 대란까지 겹치며 '디젤 기피' 현상까지 나온다.
9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0월 경유차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3.1%가 감소한 2만261대였다. 같은 기간 휘발유는 14.4% 감소한 6만912대였다. 지난해 두 차종의 격차가 2만대가 채 안됐던 것을 고려하면 디젤의 감소폭이 매우 큰 편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xQQn/btrkun2fSaH/RYJ2OlCFptY7dgo0HHUt21/img.jpg)
올해 1~10월 누적 경유차 점유율은 25.4%였는데, 요소수 문제가 불거진 지난달엔 16.5%에 불과했다.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도 각각 43.3%, 169.3%가 성장했다. 과거 이명박 정부 시절 '클린 디젤'이라는 이름까지 붙으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모습과는 정반대다.
디젤차를 고르는 가장 큰 이유였던 저렴한 기름값도 옛말이 된 지 오래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기준 전국 평균 경유값은 전일 대비 1.72원 오른 리터(ℓ)당 1602.59원이다. 서울 평균은 ℓ당 1681.11원이며 전국 최고가는 2452원이다.
![](https://blog.kakaocdn.net/dn/wvBSh/btrkoHumpfP/8Kti8WQgIHVwIrnK2iPzh0/img.png)
요소수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대형 화물트럭 등 상용차와 달리, 승용차들은 10ℓ만 넣으면 1만㎞이상 넉넉히 주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요소수 고갈'을 우려한 소비자들이 디젤을 기피하는 경향이 더 강해지는 추세다.
디젤 판매시 요소수 물량을 확보해 들어오는 수입차 브랜드만 놓고 봤을 때도 이런 경향은 두드러진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달 디젤 수입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6.1%가 감소한 1644대가 판매됐다. 같은 기간 하이브리드는 5229대가 판매돼 25.6%가 올랐고,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는 1850대로 93.3%가 상승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U3ADV/btrko68ycKu/mo7I5dlMwicSest3OBMIJk/img.png)
이번 요소수 부족 사태로 사양길에 접어든 디젤차의 '종언'시기가 앞당겨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015년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태(디젤게이트) 등을 겪으면서 꾸준히 줄고 있던 판매량에 불을 지폈다는 것. 국내서도 2015년엔 경유차 시장 점유율이 휘발유차를 크게 앞섰지만 그 이후로 하향세를 유지하며 순위가 역전됐다.
디젤 엔진을 탑재한 신차들도 단종 수순을 밟는 중이다. 제네시스는 마지막 남은 디젤 세단 모델인 G70과 G80 경유차를 지난달 22일 주문량까지만 생산하기로 하고 추가 주문은 받지 않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OojGI/btrkpOzLMbm/NkSKERG8iGkVQ3OYs5zl9K/img.jpg)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친환경 기조로 이미 완성차 업체들이 내연기관차 퇴출을 외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승용차 부문에서는 디젤 신차부터 사라지게 될 것"이라며 "여기에 요소수 대란까지 겹쳐 소비자들의 디젤 기피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44WS4/btrkr4vmEVu/6vZiLn3cjLxUVOZ4avqGu0/img.jpg)
요소수 대란으로 인해서 더 큰 문제들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기 전에 요소수 확보를 위해
국가에서도 발 빠르게 대책을 마련해 주었으면 좋겠고,
이번기회에 중국에만 의존했던 요소수 수입을 줄이고
여러나라에 요소수 수입 비중을 늘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도 알아보았는데,
요소수 구하기가 정말 쉽지 않더라구요..
구해도 전에 가격에 비해 10배 이상 뛰어서
요소수 구입하기기 참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빠른 시일내에 요소수대란이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