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20. 21:19ㆍ카테고리 없음
![](https://blog.kakaocdn.net/dn/JSrzM/btq7EeLI6J0/h1bGTaPKirH50xOqkDwlP0/img.jpg)
변이 바이러스
“람다”가 등장했다고 합니다
WHO는 칠레, 페루, 에콰도르, 아르헨티나 등 남아메리카에서 발견된 '람다' 변이 바이러스 인데요
람다 변이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전염성을 더 높이는
다중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p2SA/btq8L8QVytd/HtHTyUuHE9oXrYSBIWtgWk/img.jpg)
뉴스 기사에서도 보면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전세계 80개국 이상으로 퍼져 미국에서는 신규 확진자의 10%가 델타 변이에 감염됐으며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람다'를 관심 변이 바이러스 리스트에 포함했다고 전하는 등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CNBC는 WHO가 "처음 인도에서 발견된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현재 80개국 이상으로 퍼져나갔으며 미국에서 델타 변이에 감염된 사람들이 지난주 6%에서 현재 10%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다른 변이 바이러스보다 더 전염성이 강하며 감염됐을 때 더 심한 증상을 일으킨다는 게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입니다.
최근 영국에서는 백신 1차 접종율은 80%에 육박하고 2차 접종까지 마친 사람들이 전체 성인 인구의 절반을 넘어섰는데도 불구하고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걸린 확진자가 닷새 연속 7천 명을 넘어서며 봉쇄 전면 해제 시점을 한 달 늦췄습니다. 신규 확진자의 60%이상이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습니다.
[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 heyjude@mbn.co.kr ]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생겨나고 있네요.. ㅜ
WHO는 현재 50여 종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주시하고 있지만 모든 변이 바이러스가 공식 변이 바이러스 리스트에 오를 정도로 위협이 되는 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한편 WHO는 처음 감지된 장소에 따라 이름을 붙이는 것은 낙인 효과와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며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발견 시 그리스 문자 24개 순서대로 부르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하네요..
![](https://blog.kakaocdn.net/dn/G2Weg/btq7EzIVhcS/eoO6EyeeMGsOxmeaKzYDpk/img.jpg)
코로나 바이러스에 변이 된 바이러스..
영국발 변이인 “알파”
인도발 변이인 “델타”
남아공발 변이인 “베타”
브라질발 변이인 “감마”
이렇게 변이 된 바이러스들이 많습니다..
(변이 바이러스 이름은 그리스 문자 순서대로 )
이제는 람다까지 등장 했으니,,
앞으로 바이러스들과의 전쟁이 되겠네요..
위생관리, 건강관리 철저히 하시구요!
바이러스가 없어지는 날까지
의학과 기술이 더 발달 되었으면 좋겠습니다.